금융을 따라 흐르는 블로그
국내 무위험지표금리 개발 관련 설명회 - 한국은행 질의응답 (3) (미완성) 본문
1. 영국-유로지역-일본이 담보가 없는 익일물 금리를 RFR로 선정한 이유는?
각 국은 금융시장 여건이 다르고 중요시하는게 다르기 때문에. 미국은 다른 시장보다 활발하고 SOPA금리가 상당히 시장 규모가 크고 위기시 복원
활용축면에서 유리하다, RP금리가
2. 기일물 RFR의 산출방식은?
하루짜리 금리를 1개월 기간금라로 부여하게 되면 복리로 계산해서 계산,
익일물 금리 전망이 기일물 RFR에 반영되는지?
예를 들어 1주일 후에 시장 참여자들이
하루금리이기 때문애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하지만 오늘부터 1주일 동안 기준금리가 변동하지 않을것을 시장참여자가 예상을 하고 있다. 1주일 동안은 기준금리가
OIS금리가 예상치를 반영해서 시장에서 거래된다고 볼 수 있다. CD스왑금리가 3개월짜리 CD 6개월짜리 cd금리
3. 국내 기일물 (91일물) RFR 기반 IRS 꼐약은 언제부터 활용될 것으로 보이는지?
현재까지 거래량은 미미하고 라이브가
고시가 중단되는 시점이 다가오면
우리나라도 유사한 경로를 밟을것이다. 가이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의 컨소머스가 형서오디고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면 매끄럽게 가능
4. 기일물 (6개월물) SOFA 기반 달러-원 통화스왑 (CRS)은 언제부터 활용될 것으로 보이는지?
현실적으로 스프레드를 활용해서 대체공시가 나올것이다.
라이드 대체 TF형태
국내 금융기관 입장에서 준비할 일은 무엇인지?
5. IOSCO 원칙의 개략적인 내용은
지표 자체의 특징,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어떤 산정방법으로 산정할것인지, 관리 감독하는 책임성 부분